목차 일부
목차
궁중음식의 개관
제1장 궁중음식
1. 궁중음식의 배경 = 10
2. 무형문화재 제38호 - 조선왕조궁중음식 - = 10
3. 궁중의 조리인 = 11
4. 궁중의 일상식 = 11
5. 궁중의 연회식 = 15
6. 궁중음식의 종류 = 18
제2장 상차림과 식단작성
1. 식단작성의 기본원칙 = 21
2. 일상식 상차림 = 21
3. 의...
목차 전체
목차
궁중음식의 개관
제1장 궁중음식
1. 궁중음식의 배경 = 10
2. 무형문화재 제38호 - 조선왕조궁중음식 - = 10
3. 궁중의 조리인 = 11
4. 궁중의 일상식 = 11
5. 궁중의 연회식 = 15
6. 궁중음식의 종류 = 18
제2장 상차림과 식단작성
1. 식단작성의 기본원칙 = 21
2. 일상식 상차림 = 21
3. 의례식 상차림 = 30
제3장 명절음식과 시절식
1. 정월 = 34
2. 이월 = 36
3. 삼월 = 37
4. 사월 = 39
5. 오월 = 40
6. 유월 = 40
7. 칠월 = 42
8. 팔월 = 43
9. 구월 = 44
10. 시월 = 44
11. 동짓달 = 45
12. 섣달 = 45
제4장 양념과 고명
1. 양념 = 49
장 담그기 = 56
2. 고명 = 53
제5장 식품의 계량
1. 중량 = 58
2. 체적 = 59
3. 온도 = 60
4. 폐기물 = 60
궁중음식의 실제
죽
장국죽 = 64
흑임자죽 = 64
전복죽 = 66
타락죽 = 66
잣죽 = 67
밥
골동반(비빔밥) = 68
오곡반(밥) = 69
만두
만두국(병시) = 70
편수 = 71
준치만두 = 72
미만두(규아상) = 73
어만두 = 74
면
온면 = 75
골동면(비빔면) = 76
난면 = 77
면신선로 = 78
해물손질법 = 79
냉면 = 80
탕
임자수탕 = 81
육개장 = 82
양곰탕 = 82
애탕 = 84
완자탕 = 84
어알탕 = 84
신선로 = 86
초교탕 = 88
석류탕 = 89
전골
두부전골 = 90
도미면 = 92
낙지전골 = 93
조치 감정
오이감정 = 94
굴두부조치 = 94
게감정 = 95
절미된장조치 = 96
찜 선
사태찜 = 97
갈비찜 = 98
닭찜 = 99
떡찜 = 100
대하찜 = 101
전복찜 = 101
오이선 = 102
가지선 = 103
어선 = 104
두부선 = 105
궁중닭찜 = 106
호박선 = 107
북어찜 = 107
구이 적
쇠갈비찜구이 = 108
너비아니구이 = 108
장포구이 = 108
제육구이 = 110
대합구이 = 111
염통구이 = 112
콩팥구이 = 112
더덕구이 = 114
병어고추장구이 = 115
고등어 소금구이 = 115
사슬적 = 116
두릅적 = 116
섭산적 = 117
화양적 = 118
김치적 = 119
전
채소전(연근전 / 감자전 / 가지전) = 120
양동구리 = 122
파전 = 122
내장전(천엽전 / 간전 / 부아전) = 124
각색전(표고전 / 새우전 / 민어전 / 조개전 / 애호박전) = 126
채
겨자채 = 128
턍평채 = 129
잡채 = 130
죽순채 = 131
구절판 = 132
어채 = 133
초 조림
홍합초 = 134
전복초 = 134
삼합장과 = 135
나물
삼색나물(시금치나물 / 도라지나물 / 고사리나물) = 136
애호박나물 = 137
생채
더덕생채 = 138
무생채 = 139
파생채 = 139
숙회
두릅회 = 140
미나리강회 = 141
상추쌈차림(쌈장 / 약고추장 / 병어감성 / 보리새우볶음) = 142
장똑똑이 = 142
장아찌 장과
미나리갑장과 = 144
오이갑장과 = 144
무갑장과 = 145
마른찬
김자반 = 146
매듭자반 = 147
미역자반 = 147
마른안주(육포 / 호두튀김 / 은행볶음 / 잣솔 / 생률) = 148
북어보푸라기 = 150
폐백담는법 = 150
육포 = 151
육포말리기 = 151
김치
나박김치 = 152
장김치 = 153
젓갈
어리굴젓 = 154
떡
약밥 = 155
물호박떡 = 156
인절미 = 157
상추시루떡 = 158
찹쌀부꾸미 = 158
화전 = 159
각색편(꿀편 / 승검초편 / 백편) = 160
삼색단자(쑥구리단자 / 석이단자 / 대추단자) = 162
두텁떡 = 164
주악 = 165
조과
약과 = 166
매작과 = 167
다식(송화다식 / 흑임자다식 / 녹말다식 / 진말다식 / 콩다식) = 168
깨엿강정 = 170
강정 = 171
대추초 = 172
밤초 = 172
생란(강란) = 173
계강과 = 174
유자정과 = 174
연근정과 = 175
도라지정과 = 175
곶감쌈 = 176
섭산삼 = 176
화채 차
오미자화채 = 177
유자화채 = 178
모과차 = 178
유자차 = 179
계지차 = 180
배숙 = 180
수정과 = 18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