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남의글 앨써 읽고 그것에 대한 글쓰기와 가르치기에 생을 탕진한 모든 너에게
제1부
제1장 신의주고보의 수재
1. 입신출세주의와 신교육 = 17
2. 평북 천도교 집안, 소지주의 차남 = 21
3. 압록강 철교를 건너는 소년 = 26
4. 동경고사에 합격한 백세철 = 29
5. 운명의 옷자락-초혼 = 33
제2장 동경고...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남의글 앨써 읽고 그것에 대한 글쓰기와 가르치기에 생을 탕진한 모든 너에게
제1부
제1장 신의주고보의 수재
1. 입신출세주의와 신교육 = 17
2. 평북 천도교 집안, 소지주의 차남 = 21
3. 압록강 철교를 건너는 소년 = 26
4. 동경고사에 합격한 백세철 = 29
5. 운명의 옷자락-초혼 = 33
제2장 동경고사생, 프롤레타리아문학운동
1. 1927년의 동경고사 = 37
2. 일본 프롤레타리아문단에서의 활동 = 47
3. 슈프레히콜과 『다시 봉기하라』의 의의 = 57
4. 초월성으로서의 20년대 교양주의 = 69
5. 천도교 가문의 사비 유학생 = 77
부록_유물변증법적 이해와 시의 창작 = 81
제3장 귀국-야망의 좌절, 새로운 야망
1. 프롤레타리아문학운동의 단계적 고찰 = 95
2. NAPF 맹원에의 길 = 100
3. 맹렬한 평론활동 = 103
4. 교양주의의 부재와 천도교, NAPF의 초월성 = 106
5. 야심의 좌절-일본문단 진출의 실패 = 111
6. 인자의 도리에 낭패하기 = 113
7. 귀국과 천도교 = 116
제2부
제1장 탕아의 귀가
1. 천도교 품에 안기다 = 123
2. 탕아의 남은 열정-연애사건 = 126
3. 민족이냐 계급이냐 = 135
4. 룸펜으로 전락하기 = 139
제2장 귀국 첫 목소리, 농민문학론
1. 농민문학론의 위상 = 144
2. 농민문학의 세 갈래 이념 = 145
3. 하리코프대회의 성격 = 148
4. 동맹자문학으로서의 농민문학-구라하라의 이론 = 152
5. 백철의 농민문학론 = 160
6. 문제적 개인의 두 가지 유형-박건성형과 돌쇠형 = 165
7. 정세판단의 민첩성 = 171
제3장 눈부신 폭발, 참을 수 없이 조급한 글쓰기
1. 참으로 맹렬한 글쓰기 = 175
2. 기자와 문학평론가의 동시적 행보 = 178
3. 조선문학 구출하기, 카프문학 비판 = 184
4. 카프서기장 임화의 백철론 = 193
5. 싹트는 우정 = 198
6. 『인간묘사시대』의 시류적 민감성 = 200
제3부
제1장 전주사건, 그 '비애의 성사'
1. 극단 '신건설사'-『서부전선 이상 없다』 = 209
2. 옥중기의 유형들-김남천의 『물!』 = 212
3. 박영희의 『독방』 = 214
4. 백철의 두 기록 = 221
5. 화려한 출옥-『비애의 성사(城舍)』 = 224
6. 전향자 보호관찰법과 보호관찰소 = 228
제2장 지푸라기라도 붙잡기
1. 저널리즘에 대한 초민감성 = 232
2. 또 다른 낙향 = 234
3. 기회포착의 돌출행위-안기영 옹호론 = 239
4. 1937년 7월 6일, 고향에서 중일전쟁의 폭음을 듣다 = 242
5. 두 번씩의 처녀장가와 두 번씩의 사별하기 = 246
6. "백철 이놈, 이 도적놈!" = 251
제3장 정치적 낭만주의-풍류론과 고전론
1. 전향자의 생존전략 = 253
2. 허상의 풍류론 = 256
3. 감성적 비평관의 표층 = 260
4. 감성적 비평관의 심층 = 265
5. 고전론으로 향하기 = 267
제4장 시대적 우연성의 수리-중편『전망』
1. 중일전쟁과 임화의 노래 = 269
2. 전향소설론의 양상 = 273
3. 시대적 우연성 수리와 시정(市井)의 리얼리즘 = 279
4. 중편『전망』-백철의 창작 = 285
5. 종합문학론-『전망』의 구성 = 288
6. 김형오=나=백철 = 295
7. 근소한 차이-문학사적 의의 = 301
제4부
제1장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학예부장
1. 임화에게 묻다 = 307
2. 물고기, 물을 만나다 = 309
3. 『매일신보』의 위상 = 314
4. 조용만의 불행, 백철의 행운 = 320
5. 문학가 백철, 기자 백철의 일체화 = 326
6. 시국좌담회와 춘원의 충고 = 330
제2장 환각의 북경
1. 개운사(開運寺)의 새봄 = 332
2. 여기가 북경이다! 여기가 북경이다! = 335
3. 환각으로서의 북경 = 339
4. 일본군 지배하의 북경 = 341
5. 일본 기자 구락부 = 345
6. 동단패로(東單牌路) 이전영(利傳營) 후통(胡同) = 349
7. 늙은 도적놈 백철의 신혼생활 = 351
제3장 북해공원 위로 솟은 백탑
1. 스스로가 문학 텍스트 되기 = 256
2. 주작인(周作人)과의 대담 = 357
3. 일본문인들과의 만남 = 363
4. 팔로군과 하북 조선독립동맹 = 366
5. 연안과의 접선 시말 = 370
6. 복마전 '북경반점' 너머로 언뜻 본 흰탑 = 375
7. 역사적 감각과 문학적 감각 = 380
제5부
제1장 해방문단의 첫 장면
1. 절묘한 귀국 = 385
2. 도둑처럼 온 해방 = 388
3. 8ㆍ15 직후 『매일신보』의 표정 = 390
4. 원남동의 첫 모임 = 393
5. 두 기록의 차이점 = 397
제2장 우정으로서의 정치와 문학
1. 『문화전선』편집자 = 399
2. 『중앙신문』과 잡지『대조』 = 402
3. 임화와의 우정 = 405
4. 정치우위론, 문학우위론, 정치문학동화론 = 408
5. 우정의 이중성과 윤리감각 = 412
제3장 보도연맹과 한국문학가협회 틈에 낀 백양당
1. 영어교사 '작은 곰' = 417
2. 야심작에의 도전 = 422
3. 도서출판 백양당 = 426
4. 보도연맹과 한국문학가협회의 탄생 = 431
5. 문화자본으로서의 백양당 = 437
제4장 좌우익 속에서의 신현실주의 노선
1. 동국대학 국문과 교수되기 = 440
2. 자신감의 회복, 현장비평의 재도전 = 442
3. '신현실주의' 노선 제시 = 445
4. 백철의 김동리 비판 = 449
5. '사람은 생물이다'의 명제와 '사람은 근대인이다'의 명제 대결 = 452
6. 중간파 포섭 방식 = 457
제5장 아, 6ㆍ25!
1. 세 가지 6ㆍ25 체험기 = 461
2. 문학가동맹원 신분증의 힘 = 464
3. 서울에 온 김사랑과 김오성 = 467
4. 김동리, 조연현 그리고 모윤숙 = 474
5. 1ㆍ4후퇴와 땅끝 의식 = 479
6. 임시수도 부산에서 사랑리까지의 거리 = 489
제6부
제1장 두 기념비적 저술-『문학개론』과『조선신문학사조사』
1. 첫 번째 기념비-『문학개론』 = 499
2. 『문학개론』과『세계문예사전』 = 505
3. 두 번째 기념비-『조선신문학사조사』 = 512
4. 임화의 신문학사론과 신이원론 비판-신남철과의 대결 =
5. 『개설신문학사』의 처녀성 = 521
6. 이식문학론-우리에 있어 근대란 무엇인가 = 528
7. 박영희의 『현대조선문학사』 = 536
8. 『조선신문학사조사』의 특징-저널리즘적 성격 = 544
9. 현장비평(문예시평)의 장단점 = 548
10. 법으로서의 체험적 현장성 = 554
11. 조연현 비판의 일면성 = 562
제2장 뉴크리티시즘,『문학의 이론』
1. 문과대 학장 백철 = 567
2. 뱀허물 벗기-도미 = 571
3. 뉴크리틱과 몸으로 부딪치기 = 576
4. 『문학의 이론』-번역의 기묘함 = 592
5. 인문학의 근거 = 598
제3장 1969년의 뉴크리티시즘 비판
1. 문제제기 = 602
2. 뉴크리티시즘 세계관의 근거 = 605
3. 뉴크리티시즘의 비평가들 = 614
4. 뉴크리티시즘의 방법론 = 619
5. 뉴크리티시즘의 한계 = 625
6. 결론-한국문학 연구와 관련하여 = 635
제4장 백철의 글쓰기론-지루한 호흡, 조급한 숨결
1. 국어국문학과 3분법의 기원 = 641
2. 뉴크리티시즘 도입 풍경 = 645
3. 비평의 4영역(1) = 649
4. 비평의 4영역(2) = 656
5. 이론과 실전-작가 황순원과의 논쟁 = 665
6. 얕게나마 도랑 파서 물꼬 트기 = 675
찾아보기= 68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