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론 ... 17
제 1부 전통에서 근대로
도론: 근대 초 한국에서 사법 근대화의 의미 ... 45
1장 사법의 전통과 근대 ... 50
2장 개화파의 ‘사상’ 속의 법과 재판 ... 116
3장 갑오개혁과 재판소구성법의 ‘출현’ ... 166
4장 대한제국기의 사법제도―전통의 근대적 변용과 그 한계 ... 227
제 2부 사법의 식민지적 근...
목차 전체
서론 ... 17
제 1부 전통에서 근대로
도론: 근대 초 한국에서 사법 근대화의 의미 ... 45
1장 사법의 전통과 근대 ... 50
2장 개화파의 ‘사상’ 속의 법과 재판 ... 116
3장 갑오개혁과 재판소구성법의 ‘출현’ ... 166
4장 대한제국기의 사법제도―전통의 근대적 변용과 그 한계 ... 227
제 2부 사법의 식민지적 근대, 1905~1945
도론: 일본의 제국적 법질서와 식민지 사법 ... 293
5장 식민지형 사법제도의 형성과 확산 ... 297
6장 일제의 한국 사법권 침탈과 사법제도 ‘개량’ ... 363
7장 식민지통치체제하의 사법구조 ... 435
8장 일본의 ‘검찰사법’적 사법제도의 전개 ... 489
9장 조선형사령과 식민지 형사사법 ... 549
제 3부 헌정과 사법, 1945~
도론: ‘헌법투쟁’으로서의 사법제도 개편과정 ... 605
10장 미군정기 남한 사법기구의 재건 ... 610
11장 형사사법제도의 개혁을 향하여 ... 651
12장 사법권 독립, 독점, 민주화―법원조직법의 제정과정 ... 717
13장 검찰권 강화의 욕망과 현실―검찰청법 제정과정 ... 783
14장 권위주의 정권하의 법원과 검찰 ... 846
결론 ... 901
부록: 한국 근대 사법사 연표 ... 937
참고문헌 ... 947
찾아보기 ... 96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